전체 글

전체 글

    김포 서낭고개 여우 둔갑 설화 - 여우와 결혼한 남자가 있다?

    김포 서낭고개 여우 둔갑 설화 - 여우와 결혼한 남자가 있다?

    먼 옛날에는 동물이 사람으로 둔갑하는 경우가 많았던 모양인데요. 그래서인지 동물 출신과 결혼하는 일도 부지기수였습니다. 그러고보니 애초에 한민족 자체가 곰의 혈통을 지니고 있기는 했죠…? 이런 주제를 다룬 이야기에서 사람으로 둔갑하는 동물 중 가장 많은 사례는 바로 여우인데요. 이야기는 경기도 김포의 한 시골마을에서 시작됩니다. 옛날, 효성이 지극한 ‘덕칠’이라는 총각이 늙은 홀어머니를 모시며, 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외딴 곳에 살고 있었습니다. 덕칠이는 매일 나무를 패다가 팔아서 어머니를 봉양했는데요. 그런 물속성 효자 덕칠이는 너무나도 착했기에 마을 사람들은 그를 바보 취급을 하며 놀려대기 일쑤였습니다. 그런데 어느 추운 겨울날, 마을청년들은 덕칠이에게 장가를 보내주겠다며 그를 이끌고 함께 서낭고개로 ..

    탄천의 유래와 동방삭 설화 - 한반도의 국뽕은 전설속에도 남아있다[39]

    탄천의 유래와 동방삭 설화 - 한반도의 국뽕은 전설속에도 남아있다[39]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법화산에서 발원하여 성남시를 가로지르고, 서울의 송파구와 강남구를 거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탄천. 개인적으로는 평생 인근에 살고 있다보니 어릴적부터 자주 방문하는 곳인데요. 어느곳이나 그 이름의 유래는 있는 법인데, 과연, 탄천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어디서 시작된걸까요? 이야기는 먼 옛날, 저승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흐음, 이놈을 어떻게 잡지…?” 염라대왕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삼천갑자, 그러니까 대략 18만년이나 살아온 동방삭이 저승사자를 피해 요리조리 빠져나간 것 때문이었죠. 그런데, 그동안 동방삭을 못잡았던 이유가 있었으니… 살아도 너무 오래산 나머지, 이젠 둔갑술까지 구사하면서 외형으로는 전혀 알아볼 수도 없는 등, 도망에는 도가 튼 탓이었죠. 그래서 보통의 저승사자들은 매번..

    창귀 설화와 호질 - 귀신들린 호랑이, 이거 못 막습니다 [38]

    창귀 설화와 호질 - 귀신들린 호랑이, 이거 못 막습니다 [38]

    범. 지금에야 토종 시베리아 호랑이들이 멸종위기 1급 포유류로 지정되어 야생에는 단 한 마리도 남아있지 않습니다만…. 과거 한반도는 범들이 득실거리기에, 호담국이라 불릴 정도였습니다. 조선시대 당시 범에게 물려 죽은 사람 비율만 해도 지금의 교통사고 사망률보다 높았고, 우스개소리로 한국인이 냄새가 잘 나지 않는 이유는, 냄새 나는 유전자는 범에게 다 물려 죽었기 때문이다, 라는 얘기도 있을 정도죠. 이런 극한의 난이도를 가진 환경 속에서 당연하게도, 호랑이에 죽은 사람들을 일컫는 ‘창귀’에 대한 이야기가 쏟아졌는데요.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연암 박지원의 ‘호질’입니다. 과거 조선은 범이 많은 만큼 범을 잡아 먹는 존재들도 많았습니다. 비위(狒胃)와 죽우(竹牛), 박(駮), 오색사자(五色獅子)같이 범을..